Skip to content
조회 수 145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트랜지스터란? 스위치와 증폭기능에 대한 설명 등

 

출처 : 전자공학 실무강좌

참고 자료 중 최고임돠!

 

 

 

회로 기호는 PNP 타입은 , NPN 타입은 으로 표시한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의 조합에 따라 크게 PNP 타입과 NPN 타입이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는 용도와 상기의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은 명칭이 붙여진다.

2SA×××        PNP 타입의 고주파용
2SB×××        PNP 타입의 저주파용
2SC×××        NPN 타입의 고주파용
2SD×××        NPN 타입의 저주파용

항  목

2SC1815

2SD880

VCEO(V)

50

60

IC(mA)

150

3A

PC(mW)

400

30W

hFE

70∼700

60∼300

fT(MHz)

80

3

    VCEO:
    베이스(B)를 오픈했을 때에 컬렉터(C)와 이미터(E)에 걸리는 최대전압.
    (단순히 VCE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IC:
    최대 컬렉터(C) 전류.

    PC:
    주위온도(Ta)=25℃에서 연속해서 소비시킬 수 있는 최대 컬렉터(C) 손실(방열기 없음)

    hFE:
    이미터(E) 접지에서의 직류에 대한 전류증폭률(IC÷IB).

    fT:
    주파수를 높여가면 증폭 능력이 저하하는데, 베이스 전류(IB)와 컬렉터 전류(IC)가 같아지는 주파수.
    [직류증폭을 할 수 없게 되는 주파수(트랜지션 주파수)]

 

 

트랜지스터의 리드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리드의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매뉴얼 등을 참조하여 확인할 필요가 있다.



2SC1815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평평한 면을 바라 보았을 때,

오른쪽 리드가 베이스
중앙의 리드가 컬렉터
왼쪽의 리드가 이미터

이다.







2SD880의 경우

품명이 인쇄되어 있는 면을 바라 보았을 때,

오른쪽 리드가 이미터
중앙의 리드가 컬렉터
왼쪽의 리드가 베이스

이며, 2SC1815와는 반대이다. 

 

 

 

 

 

트랜지스터는 가변저항이다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가장 오래전부터 널리 알려진 식이,

    "트랜지스터=증폭기"

라고 할 수 있겠다. 진공관을 이용하던 커다란 몸집의 라디오를 누구나 들고 다닐 수 있도록 크기를 줄여준 장본인이 트랜지스터이며, 바로 증폭기로 사용되는 경우이다. 하지만, 요즘같은 디지털 시대에는

    "트랜지스터=스위치"

라는 식이 더 자주 사용된다. 그 뿐인가? 경우에 따라 "트랜지스터=전류제한기", "트랜지스터=잡음제거기" 등등 수많은 이름을 붙여줄 수 있는 것이 바로 트랜지스터란 녀석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트랜지스터란 무엇일까?"

위의 질문에 대한 가장 좋은 대답은, (내가 생각하기에) 다음과 같다.

    "트랜지스터는 가변저항이다"

(이 대목에서, 트랜지스터로 회로를 설계해본 사람은 아마 "아, 그렇지" 하는 말이 나오거나 또는 말없는 끄덕임['당연한거 아냐?'하는]이 있을 것이다.)

[참고1] 트랜지스터(transistor) = 트랜스(trans, 바뀜) + 레지스터(resistor, 저항)


"트랜지스터는 가변저항이다."


가변저항이라고???

가변저항이라는 소자를 만져본 독자들은 알겠지만, 저항값을 조절하는 나사가 있어서 드라이버로 돌리면서 저항값을 바꾸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트랜지스터에는 나사가 없다...그러면?

트랜지스터는 드라이버로 나사를 돌려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또는 게이트) 에 입력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로 저항값을 조정하는 가변저항"인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베이스(게이트) 입력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가 바로 트랜지스터란 얘기다.

12-1.gif

 

 

 

 

 

 

 

 

증폭기와 스위치로의 작동개념

 



트랜지스터는 입력신호로 조정하는 가변저항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당장 한가지 의문이 생긴다.

   "가변저항이 어떻게 증폭기, 스위치로 작동하지?"

우리가 이 소자를 마음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저항값을 조정할 수 있는지 하는 것과 어떻게 연결해야 증폭기, 스위치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트랜지스터의 상세한 사용방법은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이번 강좌에서는 아주 핵심적인 용법만을 살펴보면서 개념을 잡는데 집중하자.


     1. 복습 : 저항 두 개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

어디에서 이야기를 시작할까? 강좌 4에서 본 적 있는 (그 후로도 자주 등장하는) 간단한 전압분배 저항 회로 하나에서 시작해 보자. 아래 그림을 보고 간단한 질문에 답해보라.



[문] 아래 그림에서 각 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과 저항을 통해서 흐르는 전류값이 얼마나 되나?  

[답]

가. 전압

이런 경우는 계산 하지 않고, 그냥 눈으로  5V를 2:3 으로 나누어서 VR1=2V, VR2=3V 이렇게 구한다. ^^

나. 전류

전류값은 오옴의 법칙 V=IR, I=V/R 로부터 아래와같이 구할 수 있다.

   IR1 =  VR1 / R1 = 3 V / 3000Ω = 1 mA
   IR2 =  VR2 / R2 = 2 V / 2000Ω = 1 mA

여기서, 회로에서 R1에 흐르는 전류가 다른 곳으로 빠지는 곳 없이 그대로 R2로 흐르게 되니깐,  IR1 = IR2 = 1 mA 로 같아지며, 둘중 하나만 구하면 된다.

(만일 전류계산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는 느낌이 든다면 ...다시 앞 강좌로 돌아가서 몇 문제 더 풀어보도록 하라. 간단한 전압 전류 계산은 능숙해야 한다.)


     2. 복습(응용) : 저항과 가변저항을 직렬로 연결한 회로

자, 윗 그림에서 이제 R1을 가변저항으로 바꾸어보자. 이 가변저항을 1MΩ, 11 turn 짜리라고  가정해보자. (즉, 조정나사로 0Ω에서 1000000Ω까지 조정하는 데 11바퀴 돌려야 하는 가변저항이라는 뜻이다.)

자, 이제 R1의 저항값(오타수정,2008.4.8)이 바뀜에 따라 R1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값은 아래와 같이 바뀌게 된다. 저항값이 올라가면 출력전압은 증가하고 출력전류는 감소한다...



다시 말하면,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출력전압은 0 V에서 5 V 까지,
    저항에 흐르는 전류(출력전류)는 거의 0 mA에서 2.5 mA까지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전류가 0 mA란 바로 전선이 끊어진 것과 같고,
     2.5 mA란 가변저항 없이 전선으로 연결한 것과도 같다.
     다시 말하면,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가장 낮게 하거나 가장 높게 하는 것은
     전선을 끊거나 잇거나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준다.
     뒤에 다시 나오지만, 스위치 용법에 해당되는 거다.)

하는 말이다.  OK?  조금만 차분하게 생각해보면 금방 알 수 있을것이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라고나 할까....


     3. 저항과 트랜지스터를 직렬로 연결한 회로

이제, 가변저항의 자리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연결해보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는 거다. 둥둥둥....

(여기에서는 우선 원리적으로만 살펴보는 것으로 NPN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만 예로 든다. 원리적으로는 FET도 마찬가지다.)

트랜지스터는 가변저항이다. 그런데, 그 조정을 드라이버로 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입력전류값을 바꾸면서 한다고 했다.(BJT에 대해서만 말한다고 했다.) 베이스 입력전류값을 바꾸면서 이 회로의 출력전압, 출력전류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자, 이 그림에서 보면 저 위의 가변저항의 경우와 별반 다름이 없다. 베이스 전류값이 바뀌면 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이 바뀌게 되고 그 결과 출력전압과 출력전류가 바뀌게 된다. 이것이 바로 트랜지스터의 기본 작동 개념이다.


    3-1. 트랜지스터 스위치 작동개념

그렇다면, 어떻게 스위치로 작동할 수 있는가?  

스위치란 회로를 연결(on)했다가 끊었다(off)가 하는 것이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면 말하면, 스위치 양단 사이의 저항을 0 Ω이 되게 했다가 무한대 Ω이 되게 하는 것이다.

위의 가변저항과 트랜지스터를 연결한 회로에서, 출력전압이 0 V인 경우가 바로 스위치가 on 되어 있는 상태와 같다. 그리고, 출력전압이 5 V인 경우가 바로 스위치가 off 되어 있는 상태하고 같다.

이해되는가?

(연습장에 위의 그림을 그리고 트랜지스터 대신 스위치를 그려넣고 on/off 상태를 따져보면 더 쉽다.)

예를 하나 들어보자...

스위치로 쓰는 경우, 보통 디지털 신호를 on/off 제어 신호로 입력하게 된다. 베이스 입력단에 +5V와 0V 를 각각 on과 off 신호로 쓴다고 가정하자. 베이스 입력단에 대략 30 kΩ 이하의 저항을 연결해 두면 아래와 같이 스위치로 작동하게 된다.



[스위치 on ]  +5V가 베이스(B)와 에미터(E) 사이에 걸리게 되면, 베이스로 흘러들어가는 전류가 120 uA(마이크로 암페어)를 넘게 되어 트랜지스터 양단의 저항이 거의 0 Ω이 된다. (=스위치 on 상태가 된다.) 그러면, 약 20 mA 전후의 전류가 전구(발광다이오우드, LED)에 흐르게 되어 불이 켜진다.

이 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완전히 on 시키는 기준 전류값을 '새츄레이션 베이스 전류'(saturation base current) 또는 '포화전류' 라고 하고, 기호로는 iB(SAT)라고 쓴다. 여기서, 새츄레이션 전류는 120 uA가 된다.

[스위치 off ] 0V가 베이스(B)와 에미터(E) 사이에 걸리게 되면(=같은 전압이 걸리면), 베이스로 흘러들어가는 전류가 0 uA(마이크로 암페어)가 되어 트랜지스터 양단의 저항값이 매우 커지게 된다. (= 스위치 off 상태가 된다.) 그러면, 전구에 흐르는 전류값이 거의 0 에 가까와져 불이 꺼지게 된다.

이 때,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완전히 off 시키는 기준 전류값을 '컷오프 베이스 전류'(cut off base current)' 또는 '차단전류' 라고 한다. 여기서, 컷오프 전류는 특수한 용도의 트랜지스터가 아니라면 0 uA 이다.


이와같이 별도의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트랜지스터 스위치'를 on/off 할 수 있는거다.

---- 여기서, 실무지식 하나만 살펴보자.

드라이버로 가변저항 조정하기는 쉽지만, 베이스 전류를 마음대로 설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보통, 입력신호(의 전류,전압)가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회로를 설계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에 베이스 저항을 얼마로 결정할 것인가가 문제가 된다.

실무 초보자의 경우 저항을 연결해놓고서도, 현재의 베이스 전류값이 얼마나 되는지 측정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QA게시판에도 어떤 분이 질문한 적이 있다.) 물론, 전류계를 연결하여 측정할 수도 있겠으나, 베이스 전류는 값이 매우 작으므로 쉽지가 않다.

가장 쉬운 방법은, 베이스 저항의 양단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저항값을 알고 전압값을 알면 베이스 저항을 통해서 전류가 얼마나 통과하고 있는지 계산해서 알 수 있다. 베이스 저항을 흐르는 전류는 그대로 베이스로 입력되므로, (측정전압)/(베이스 저항값) = (베이스 전류값) 으로 구할 수 있다.

[예제]
바로 위의 그림에서, 입력단에 5V 를 걸어놓고 10 kΩ 짜리 베이스 저항의 양단 전압을 재어보니 4V 이다. 이 때 베이스 입력전류는 얼마인가?

[답]
베이스 전류 = (4 V) / (10 kΩ ) = (4 V) / (10,000 Ω) = 0.0004A = 0.4 mA = 400 uA


    3-2. 트랜지스터 증폭기 작동개념

그렇다면, 이제 어떻게 증폭기로서 작동하는지를 살펴보자.

증폭기는 트랜지스터 스위치의 on 상태(iB>120 uA)와 off(iB=0 uA) 상태의 사이에 있는 영역을 이용한다. 즉, 베이스 입력전류 값이 변화함에 따라 저항값이 바뀜으로써 출력 전류값이 변화하게 된다. 앞에서 살펴본 예를 통해서, 베이스 전류는 마이크로 암페어 단위로 변하지만 출력전류는 밀리 암페어 단위로 변하고 있다. 대략 백배 이상의 전류 변화를 만들어 내고 있다. 이것이 증폭기로서의 작동인 것이다.

아래의 그림을 살펴보자. 아래 그림은, 증폭기로 사용하는 트랜지스터의 아주 쉬운 작동 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주의해서 볼 부분은 '바이어스 인가' 부분이다. 베이스 전류의 변화에 따라 트랜지스터 출력측 전류값이 변한다는 것은 이미 위에서 확인했다.

하지만, 음성입력과 같이 교류신호(+/-로 변화하는 신호)의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그림과 같은 NPN형 트랜지스터 회로에서 베이스 입력 전류로 (-) 신호가 들어오면 전혀 작동을 하지 않고 계속 off 상태가 된다. 즉, (+) 신호에 대해서는 증폭작동을 하지만, (-) 신호는 짤려나가고 마는 것이다.

(왜냐? 베이스 전류가 반대로는 흐르지 않으니까...잘 모르겠다고? 트랜지스터의 구조에 대한 좀 더 상세한 이야기는 다음 강좌에 이어가겠다. 이번 강좌에서는 그저 "개념" 잡는데 충실하자.)

이 문제는, 입력신호와는 별도로 설계자가 '바이이스'를 '인가'하여, 모두 (+) 전류로 바꾸어 입력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작동하는 것이다.

12-5.gif

작동을 살펴보면, +40~-40 uA의 입력전류에 +80 uA의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여, 변화하는 모양은 간직한 +신호로 바꾸어서 베이스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면, 전체 입력신호의 변화에 대응되는 출력전류의 변화가 나타나게 되며, 그대로 연결하면 들리지 않던 미세한 신호가 증폭되어 스피커를 움직여 귀로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림에 자세한 설명을 달아놓았으므로, 이상으로 증폭기로서의 작동 개념의 설명을 마치겠다.

[잠깐] "증폭"이란 입력전류를 커다랗게 만드는 것인가?

혹시...'어? 입력신호를 증폭한다더니, 왜 입력신호가 아닌 다른 쪽에서 출력신호를 꺼내는 것일까?' 하고 생각하는 독자가 있을는지 모르겠다.

증폭기 작동 사례를 하나 살펴보기 전에, 우리가 흔히 전자회로에서 "증폭"한다는 것의 실체를 먼저 알아두어야 하겠다.

무엇을 '증폭'한다고 하면, '크게 변화시켜낸다'는 뜻이긴 하다. 하지만, 전자회로에서 '증폭'이란 입력되는 신호 그자체가 커지는 것이 아니다. 다만, 입력신호의 모양을 본뜬 커다란 신호를 어디서건 끄집어 낼 수만 있다면, 그것이 바로 증폭이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BJT) 회로의 이해

 
    "트랜지스터 회로 = 다이오우드 회로(조정나사) + 가변저항 회로"

트랜지스터 회로는 B(베이스)-E(이미터) 사이의 다이오우드 회로와 C(컬렉터)-E(이미터) 사이의 가변저항 회로로 나누어 아래 그림 처럼 생각하는 것이 이해하는 데 매우 편하다. [여기서는, 일단 NPN형 트랜지스터를 생각한다.]




   베이스-이미터 회로의 이해

트랜지스터가 작동할 때에는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 순방향 전압이 걸리게 되는데,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회로만을 떼어서 생각해본다면 PN 다이오우드를 이용하는 회로와 같아진다.

그렇다면, 베이스를 입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입력측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 는 다이오우드에 대해서 잘 알면 별 문제가 없게 된다. 결국, 많은 분들은 이 부분을 읽고 나서는 아마 다시 다이오우드 강좌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트랜지스터2 강좌에서 예를 들었던 것과 같은 예를 들어보자. 우리가 베이스의 (바이어스) 전류로 80 uA(마이크로 암페어)를 항상 흐르도록 하면서 여기에 입력전류를 추가로 얹어서 그 합을 입력 신호로 삼고 싶다면, 80 uA가 입력단(베이스)으로 흘러들어가도록 아래 그림과 같이 베이스측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VF는 다이오우드 강좌에서 이미 공부했던 다이오우드의 "순방향 전압강하" 값이 되겠다. 트랜지스터 입장에서 다시 말하자면, 베이스-이미터 전압 VBE 이라고 한다. 우리는 앞으로 이 이름을 자주 보게 된다. 잘 기억해두자.

자, 80 uA의 바이어스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서 +5V 전원을 바로 이용할 때, 저항 RB 값은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 계산해보자. 쉽게 산수를 통해서 계산이 가능하니깐...

다이오우드(실제로는 트랜지스터가 되겠다)에 따른 특성값인 순방향 전압강하 값을 VF = VBE = 0.6  이라고 하면, VBIAS = VBR + VF 이므로,

VRB = VBIAS - VF = 5 - 0.6 = 4.4 [V]

가 된다. 한편, 오옴의 법칙으로부터 VRB = iBIAS × RB 이므로,

RB = VRB ÷ iBIAS = 4.4 [V]  ÷ 80 [uA] = 4.4 [V] ÷ ( 80 × 10-6 [A] ) = 55000 Ω = 55 kΩ

가 된다. 실제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회로를 직접 구성해서 각 단의 전류, 전압 등을 측정해보면서 확인해야 한다.


  컬렉터-이미터 회로의 이해

이번에는 컬렉터-이미터 측의 회로를 살펴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트랜지스터는 가변저항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변저항의 특성은 통과하여 흐르는 전류 IOUT 및 양단의 전압 VOUT으로부터 (오옴의 법칙을 써서 저항값을) 알 수 있다.  



오른쪽 그래프는 가변저항의 값이 변함에 따라 출력 전압 및 전류가 얼마나 변하는가를 나타내고 있다. RC = 1 kΩ이라고 해보자. 가변저항의 값이 '0'일 때는 (가변저항 없이 그냥 전선으로 연결된 경우로 생각하면 되므로),

VOUT =  0 V
IOUT = +5 V ÷ RC = 5 V ÷ 1000 Ω = 0.005 A = 5 mA

로 산출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알아보자. 가변저항의 값이 거의 '무한대'일 때는 (가변저항 없이 회로가 끊어진 상태로 생각하면 되므로)

VOUT = +5 V
IOUT =  0 mA

가 된다. 그 사이의 저항값을 가지는 경우에는 출력전류 및 전압은

VOUT = 5 V - VRC = 5 V - ( IOUT * RC )
또는,
IOUT = ( 5 - VOUT ) / RC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 = VOUT, y = IOUT로 두면, 일차함수가 되며 그래프로 그리면 위의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선이 된다. 베이스 입력전류 값이 변하면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이미터 사이의 저항값이 변하면서 출력전류 및 전압값이 빨간색 선위를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빨간 직선을 우리는 부하선 또는 로드라인(load line) 이라고 부른다. 트랜지스터 회로 설계를 위해서 우리는 부하선을 자주 이용하게 된다.

당연한 이야기인데, 결국, 트랜지스터의 저항값이 커지면 트랜지스터에 양단에 걸리는 전압( VCE = VOUT ) 은 커지게 되고, 흐르는 전류값(IC = IOUT)은 작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트랜지스터 특성과 작동의 이해

지금까지 베이스 회로와 컬렉터-이미터 회로를 나누어서 살펴봤으니, 이제 이 둘을 연결시켜 보자. 트랜지스터의 특성 곡선은 앞에서 살펴본 컬렉터-이미터 전압 VCE과 컬렉터 전류 IC 좌표 위에 아래 그림처럼 나타난다.



이 그래프는 베이스 전류가 높아지면 그에 따라서 컬렉터 전류가 높아지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 특성곡선 위에 저 앞에서 보았던 부하선(load line)을 얹어 놓으면, 우리는 이 그림에서 입력 신호를 알면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바로 아래의 그림처럼...



여기서, 베이스로 입력되는 전류 신호가 녹색 곡선과 같을 때, 컬렉터 (출력) 전류는 빨간 곡선으로, 컬렉터-이미터 사이의 (출력) 전압은 파란색 곡선과 같아진다. 회색 직선은 부하선이고...

이와같이, 베이스 회로, 컬렉터-이미터 회로(부하선), 그리고 트랜지스터 특성표 등을 이용하여 트랜지스터 회로를 해석 또는 설계하게 되는 것이다.


오늘의 내용은 다소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여러번 반복해서 그려보고 생각해보면 결국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이다. 열세번째 강좌는 이것으로 마친다.

[참고] 트랜지스터 특성 곡선은 별도의 트랜지스터 특성 측정기(transistor curve tracer) 같은 것을 사용하면 쉽게 알 수 있으며, 별도의 특수한 장치가 없어도 누구나 간단하게 회로를 구성하여 알아낼 수 있다. 예들들어, 베이스 입력쪽에 가변저항을 달아두고 조금씩 조정하면 베이스 전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컬렉터 쪽에 부하저항도 가변저항으로 달아두고 조금씩 조정하면 부하선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할 수 있다.

 

 

 


 

 

 

 

 

 

 

 

 

로그인 후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11 주식 황우석 사태에 대한 아이러브 황우석 입장 2009.08.26 11020
210 주식 황우석 박사 1심 최후 진술 전문 2009.08.25 6889
209 주식 황사테마 미세먼지 관련 테마주 2016.01.27 1613
208 주식 환율조작국 대한민국 본격적 구조조정 file 2016.04.25 2262
207 주식 현우산업 / 광전자 오늘의 추천주 2016.08.24 2017
206 주식 현대차 상대로 등친 중소기업 뉴스를 보고 1 file 2017.04.30 8724
205 주식 현대차 기아차 악재 쏟을만큼 쏟았다. file 2016.09.17 1686
204 주식 향후 눈여겨 봐야 할 10종목 1 2010.05.04 4299
203 주식 해외주식 재무제표 2014.10.27 3680
202 주식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2016.01.21 2131
201 주식 해외주식 고배당주 file 2014.10.27 3320
200 주식 한창산업 - 아연분말,인산아연,제올라이트,바나듐 생산업체 2023.04.13 38282
199 주식 한국주철관 현시점 매수타이밍 file 2014.04.17 3263
198 주식 한국주철관 이젠 갈때가 되었다. file 2016.08.31 1538
197 주식 한국주철관 싱크홀 관련주 file 2016.09.11 2388
196 주식 한국주철관 배당금 수령일 등 1 file 2017.07.05 4896
195 주식 한국주철관 2016년 놀라운 실적발표에 2017년도 기대만발 file 2017.06.02 4698
194 주식 한국주철관 2017.10.13 4539
193 주식 한국 주식 사는 외국인 11조, 9개월 째 순매수 file 2016.10.20 1564
192 주식 팍스넷 좋은글 2015.08.14 146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 11 Next
/ 11

http://urin79.com

우린친구블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