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135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패킷을 훔치는 ARP Spoofing 공격 탐지 툴

 

참고 : http://core.ahnlab.com/11

           http://core.ahnlab.com/9

           http://core.ahnlab.com/223

           http://core.ahnlab.com/261

 

 

WinARPWatch 툴과 와이어샤크를 사용하여 탐지하는 방법

 

윈도우 계열에서는 TTL 값이 기본으로 128 입니다. ARP Spoofing 공격을 하기 위해서는 공격자가 패킷을 수신한 후 forwarding을 시켜 주어야 합니다. 그렇게 되면 원래 패킷은 drop되게 됩니다. kernel에서 packet forwarding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라우터처럼 동작하게 됩니다. 따라서 ARP Spoofing 공격이 이루어진 후 TTL 값이 127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RP Spoofing 탐지/차단 툴 : ARP Spoofing 패킷을유발하는 시스템을 탐지/차단하는 툴
ARP Spoofer 전용백신 : ARP Spoofing 악성코드에 감염된 시스템을진단/치료 하기위한 전용백신

http://www.ahnlab.com/kr/site/download/vacc/downFile.do?file_name=v3kill_ts.exe
ARP Spoofer 전용백신

 

 

 

악성코드 감염 증상
해당 악성코드는 온라인 게임핵류 전파가 주 목적으로 보이며, ARP Spoofing 을 이용해 다수의 시스템에 전파하게 됩니다. (이 문서에서는 ARP 유발과 관련된 일부 파일들에 대해서만 작성하겠습니다.)

그리고 감염이 되면 아래와 같은 파일들을 생성합니다.

C:\WINDOWS\Temp\dllhost.exe // ARP 유발 악성코드
C:\WINDOWS\Temp\conime.exe
C:\WINDOWS\Tasks\[숫자]\svchost.exe
C:\WINDOWS\MicrosoftManagementConsole_0.dll
[표 4] 주요 생성 파일



시스템 재시작시 동작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레지스트리에 등록합니다.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logon\Userinit                                                                                  
"C:\WINDOWS\system32\userinit.exe,C:\WINDOWS\Tasks\000c00290eb07a0170\svchost.exe"

HKLM\SYSTEM \ControlSet001\Services\[서비스명]\Parameters\ServiceDll                                                                                         
"C:\WINDOWS\MicrosoftManagementConsole_0.dll" 
[표 5] 레지스트리 등록값



추가적으로, 일부 시스템에서 감염시 윈도우 정상 파일인 userinit.exe 파일을 악성코드로 교체하는 증상이 발견되었습니다.

C:\WINDOWS\System32\userinit.exe
[표 6] 악성코드로 교체되는 파일



 




 

로그인 후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37 AutoHotKey autohotkey) 화면보호기, 바탕화면 control 창 열기 3 2012.03.17 8366
436 HTMLPHPMSQL PHP5.4.4 form 변수 전달받기(get, post방식) 2015.07.22 8354
435 Server php) 변수명을 변수값으로 지정방법 10 2013.03.23 8291
434 컴퓨터잡담 자가발전기 원리 1 2012.07.11 8276
433 Server XE Xpress Engine 사이트맵에서 메뉴추가시 저장 안되는 현상 2012.05.12 8263
432 AutoHotKey Autohotkey 브라우저 제어 테스트 file 2015.01.26 8221
431 WindowsTip Iexplorer_익스플로러 오류)0x7c0c5a6c에 있는 명령이 0x7c0c5a6c의 메모리를 참조했습니다. 1 file 2013.02.05 8209
430 컴퓨터잡담 SendMessage the values are for wparam 1 2009.12.23 8204
429 WindowsTip MS-DOS 모드에서 Windows 복원 방법 3 2013.02.26 8185
428 컴퓨터잡담 하드 공유폴더 해제하기 1 2012.03.19 8183
427 컴퓨터잡담 Ghost용 배치 파일 작성 예 1 2009.11.24 8164
426 컴퓨터잡담 Wireshark 이용하여 tcp/ip 패킷내용 추출하기 2 6 2012.10.18 8149
425 WindowsTip imm32.dll 다운 바이러스 오류 해결법(한글이 잘 안써지는 문제 등) 1 file 2013.01.23 8144
424 WindowsTip ISO 파일을 USB에 굽는 방법 [4GB 넘는 ISO 파일 USB에 굽는 방법] 2019.04.13 8121
423 컴퓨터잡담 windows xp 정품인증 크랙 2011.08.01 8118
422 WindowsTip 스윙 브라우저와 크롬 브라우저 비교 file 2013.02.14 8118
421 컴퓨터잡담 tasklist /SVC svchost 시스템 서비스 프로세스 보기 2010.01.21 8117
420 컴퓨터잡담 카카오 인증관련 오류 file 2021.08.08 8107
419 WindowsTip windows Arp Spoofing Tool 5 2013.01.05 8092
418 컴퓨터잡담 [autohotkey] 시스템 레지스트리 수정, 삭제 1 3 2010.08.14 8062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 46 Next
/ 46

http://urin79.com

우린친구블로그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